본문내용
교과목소개
-
- 식품생명과학(Food and Life Science)
- 동물, 식물 및 미생물의 일반적인 생명현상에 대하여 개관하고 주요 생체분자의 종류와 생리적, 생화학적 특성에 대하여 학습한다. 또한 인간을 포함한 고등생명체가세포 내에서 각종생체 분자물질을 사용해서 생명현상을영위해나가는 복잡하고 다양한 생명현상을 해설하고 식품에 함유되어 있는 각각의 생체구성 분자가 가지고 있는 생리적 특징에 대하여 학습한다.
-
- 질병과식사요법(Disease and Food Therapy)
- 일상생활 속에서 나타나는 각종 질병과 비만 등 각종 생활습관 질환에 대하여 정확하게 이해하고 이를 토대로 식품의 영양적, 위생적, 문화적인 면을 종합적으로 고려하는 과목으로 식생활과 운동, 행동 및 심리적 관리 등 생활의학과 연관된 개념을 소개하고 사례 중심 강의를 진행한다.
-
- 유기화학(Organic Chemistry)
- 유기화학은 생명체를 포함하여 모든 식품, 의약품 소재 물질의 화학적 기초를 이루는 분야로서 생명과학의 핵심적인 이론적 토대를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에너지와 합성 물질을 포함하는 주요 내용을 소개하고 유기화합물의 구조와 특성 각종 반응의 메커니즘 등 제반 화학반응과 유기화합물의 특성 강의한다.
-
- 공중보건학(Public Health Care)
- 환경위생, 위생교육, 질병의 조기 진단과 예방, 건강생활의 표준 등 공중보건의 주요 사항을 숙지하고 보건위생과 식품 및 건강에 대한 정확한 이해를 위하여 건강생활과 관련된 개인 및 환경위생 식품의 성분 및 반응 식품의 기능성에 대한 기초지식을 학습한다. 또한 식품의 건강에 미치는 영향과 기능성에 근거하여 스마트 식생활에 대한 적용 방안에 대하여 탐구한다.
-
- 생화학(Biochemistry)
- 생명현상의 기본이 되는 생체 주요 구성성분인 탄수화물, 지질, 단백질의 이화학적 특성과 대사 과정을 이해하고 핵산의 화학, 유전정보의 보존과 전달 및 효소, 비타민, 호르몬의 생리적 기능에 대하여 학습한다. 또한 식품의 기능성 발현 메카니즘 및 농식품생명산업 전반에서 활용되고 있는 생명과학 관련 기술의 적용원리에 대하여 이해한다.
-
- 기초영양학(Basic Nutrition)
- 탄수화물, 지방, 단백질 등의 다량 영양소의 구조와 체내 기능 및 운반과 대사과정을 이해한다. 또한 이들 영양소의 섭취 균형과 만성질병과의 간계를 조명함으로써 적절한 영양상태의 중요성을 인식한다.
-
- 식품미생물학(Food Microbiology)
- 식품과 의약품 생산 등에 이용되고 있는 미생물의 종류와 특성에 관해서 설명하고 미생물의 제어 방법, 자연계의 물질순환에 미치는 미생물의 역할, 발효식품에 이용되는 미생물에 대하여 강의한다. 또한 곰팡이, 효모, 조류 등 유익한 진핵 미생물의 역할과 주요 미생물의 배양법, 계수법, 배지 특성 등에 대하여 학습한다.
-
- 식품산업공학(Food and Life Science)
- 동물, 식물 및 미생물의 일반적인 생명현상에 대하여 개관하고 주요 생체분자의 종류와 생리적, 생화학적 특성에 대하여 학습한다. 또한 인간을 포함한 고등생명체가 세포 내에서 각종의 생체분자 물질을 사용해서 생명현상을 영위해 나가는 복잡하고 다양한 생명현상을 해설하고 식품에 함유되어있는 각각의 생체 구성 분자가 가지고 있는 생리적 특징에 대하여 학습한다.
-
- 인체생리학(Human Physiology)
- 인체를 구성하는 기본 단위인 세포, 조직, 기관 및 계통별로 구조, 기능 및 조절에 대하여 숙지하고 이를 토대로 식품의 생리적 기능성 및 질병과의 관계 등에 대하여 고찰한다. 또한, 인체 신진대사의 특성과 관련하여 건강생활에 대한 식품과학의 응용원리에 대해서 학습한다.
-
- 식품위생학(Food Hygienics)
- 식품위생의 기본 개요, 식품과 미생물, 식품첨가물, HACCP 등 식품위생과 관련된 기본 지식을 습득하도록 한다. 또한 식품위생의 행정, 식중독 위해 물질, 관계 법규 등에 대하여 강의하여 학생들이 위생사 및 식품 안전관리자가 될 수 있는 지식을 습득하도록 한다.
-
- 식품재료학(Food Materials)
- 농산식품, 축산식품, 수산식품, 기호식품의 품질, 성분, 특성 등을 물리적, 이화학적 측면에서 체계적으로 다루고, 이들 식품의 조리, 가공, 저장 중의 중요한 성분 변화 및 특성변화를 파악하고 이를 기초로 적절한 식품 선택 및 조리 가공 방법을 학습한다.
-
- 발효식품학및실습(어드벤처디자인) (Fermented Food and Lab (Adventure Design))
- 식품의 발효와 관련된 각종 미생물의 생리, 감별법, 배양법 등 식품생산에 이용되는 미생물에 대한 발효기술에 대하여 학습한다. 발효 미생물의 종류와 특성에 따른 제어 방법, 식품생산에 이용되는 발효의 활용 방법에 대하여 실습한다.
-
- 식품화학(Food Chemistry)
- 주요 식품 구성성분의 구조와 성질에 대한 이해를 기초로 식품의 취급, 조리, 가공, 저장, 유통 등각 단계에서 일어나는 화학적 변화와 분석학적 접근법에 대하여 학습한다. 또한 식품의 기능성 및 안전성의 기본 개념을 이해하고 농식품생명산업 분야 전반에서 활용되고 있는 관련 기술과 적용원리에 대하여 학습한다.
-
- 영양교육및실습(Nutrition Education & Practice)
- 개인 및 집단에 대하여 효율적으로 영양 및 건강 상태를 증진시키고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 영양 원리를 교육한다. 성장별 영양 요구, 개인이나 집단의 영양교육 자료분석, 여러 가지 식이 섭취, 조사 방법과 각각의 장·단점, 생화학적 임상자료의 해석 등을 다루고 실험, 실습을 병행한다.
-
- 고급영양학(Advanced Nutrition)
- 생화학적 그리고 생리학적 근거에서 영양소의 체내대사를 강의한다. 특히 영양소의 상호간의 관계를 통한 신체 내 조절기능에 중점을 둔다.
-
- 유전공학(Genetic Engineering)
- 유전자의 구조와 조절 기구의 해명을 위한 기초적인 면과 유용물질의 생산과 같은 응용의 면에서의 유전공학의 내용을 설명하고 이에 필요한 효소 및 그 사용법에 대해서 강의한다.
-
- 식품기능성분석(캡스톤디자인)(Food Functional Analytsis(Capstone Design))
- 식품이 가지고 있는 기능성 성분의 정성, 정량 분석에 대하여 강의하고 실험을 통하여 분석방법의 이론과 실무에 대한 지식을 함양한다.
-
- 식품가공학및실습(Food Processing and Lab))
- 농산물, 축산물, 수산물, 식물 소재 등을 이용하여 물리적, 화학적, 생물학적 방법으로 식품을 가공하는 방법과 원리를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원료의 보관, 건조, 저장, 살균, 포장, 제품개발, 품질관리, 품질 개선, 공정관리, 위생관리를 할 수 있는 전문지식을 습득하도록 한다. 또한, 이론교육과 실습을 병행하여 생산 현장에서 바로 적용할 수 있는 실무능력을 배양하도록 강의하고 실습한다.
-
- 생애주기영양학(Nutrition throughout the Life Cycle)
- 고령화 사회 및 건강생활에 관해 관심이 고조되고 있는 현실에서 인간의 생애주기 즉 영유아기, 아동기, 학령기, 사춘기, 청년기, 성인기, 노년기 및 임신, 수유기의 특수성과 영양 문제를 포함하여 생리학적, 해부학적 영향으로 인한 영양소 필요량의 변화를 이해하고, 운동, 노동, 등 특수한 환경 조건에서 요구되는 영양적인 문제점과 대처방안에 대하여 학습한다.
-
- 실험조리및식품개발(Experimental Cooking and Food Development)
- 음식의 색・질・향미와 관련된 식품의 성분 및 조직, 조리가공에 의한 변화 등을 연구하고, 식품학 및 영양학의 기본 요소를 실제로 음식을 만드는 일에 연결하여 식생활에 대한 이해와 응용력을 높인다.
-
- 지역사회영양학(Community Nutrition)
- 지역사회의 영양 문제를 파악하고 영양상태에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며 지역사회의 다양한 집단을 위한 영양개선 프로그램 개발을 모색한다. 아울러 개발된 영양개선 프로그램과 지역, 국가 및 국제 영양정책과의 연관성을 탐색한다
-
- 식품영양분석(캡스톤디자인) (Food Nutrient Analysis(Capstone Design))
- 식품의 영양성분 분석 및 품질관리를 함에 있어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정성 및 정량을 위한 분석 방법의 기초 이들을 학습한다. 식품의 일반성분 분석 실험을 통하여 실험원리 및 실험과정을 이해하고 실험 기자재 사용법을 습득한다.
-
- 영양판정및실습(Nutritional Assessment and Practice)
- 영양학 연구를 위한 기본적인 영양판정 기술을 습득하고, 다양한 실습을 통하여 현장 연구에 직접 적용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른다.
-
- 식생활관리(Meal Management)
- 식품과 영양의 원리를 이용한 식사계획, 조리, Service, 영양학적·경제적·문화적·경영학적인 면을 다루며 실험 실습을 통하여 식단을 짜고, 상차림, 후처리하는 과정을 계획된 시간 관리 내에 이행할 수 있는 능력을 습득케 한다.
-
- 식품속의DNA(캡스톤디자인)(DNA in Food(Capstone Design))
- 식품생명공학 분야의 핵심적인 기법인 gene cloning, PCR 등의 기술과 활용에 대하여 강의한다. 식품 속 미생물의 유전자 활용에 필요한 효소의 구체적인 사용법 및 유전공학 기술에 대하여 실습한다.
-
- 식품생명현장실습(Food Bio On-job Training)
- 현장실습은 학교에서 배운 지식의 산업체 현장에 대한 적용을 통해 일자리 미스매치 해소와 성공적인, 사회진출에 교육목적을 두고 있다. 실습 과정에서 참여 학생의 새로운 산업환경에 대한 적응력, 학생의 적극적이고 창의적인 활동성, 실습 기간 중 주어진 과제의 독자적인 업무 수행 능력 등을 향상시키고자 한다.
-
- 식품위생관계법규(Law for Food Sanitation and Policy)
- 식품의 안전성을 담보하기 위한 제반 위생 및 정책 법규와 식품별 기준규격, 식품첨가물의 사용 대상과 규격 등에 대해서 강의한다. 식품법 및 시행규칙에 대한 개념과 국내 식품위생 법규의 실제 내용, 국제 코덱스 규격 (Codex Alimentarius Commission)의 제정 이유와 그의 내용에 대해서 강의하고, 가공식품 및 첨가물의 규격 및 제품 표시에 대해서 강의한다.
-
- 급식경영및마케팅전략(Food Service and Marketing Strategy)
- 단체급식 경영을 위한 합리적인 관리법으로 경영계획, 조직형성, 경영통제, 기타관리제도 등을 학습하며, 마케팅 전략에 대한 이해를 통해 식품산업의 유통 및 서비스 분야에 대한 기초지식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식품산업의 부가가치 창출과 경제성 강화와 관련하여 필수적인 내용을 강의한다.
-
- 6차산업창업과식품안전(The 6th Industry Start-up and Food safety)
- 글로컬 식품산업 및 관련 신성장동력 산업 현황을 분석하고 국내외 최신 우수사례를 반영한 식품 안전관리 방법을 학습한다. 또한 국내 6차 산업 육성의 정책 방향에 맞는 창업 준비 및 식품의 안전에 대하여 강의한다.
-
- 영양사현장실습(Field Experience in Nutritionist)
- 영양사 업무에 관한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현장실습을 통하여 전문가 양성을 도모한다.
디자인구성요소